신규 랩탑 기기 초기 셋업을 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미리 적용해놓았던 터미널 하이라이트들을 백업하지 못하여 매번 새로 세팅을 해야했다.
이번 랩탑 셋업을 하면서 이번 기회에 블로그글로 정리하여 남겨두려한다.
필자는 Window 환경에서는 XShell8 을 사용한다.
터미널 키워드 하이라이트 장점
하이라이트를하면 확실히 터미널 작업이 좀 더 편하고 효율화 된다.
대표 하이라이트 키워드
아래에는 주요 예시 키워드들과 정규식을 정리한다.
에러/실패 | ERROR, FAIL, FAILED, FATAL, CRITICAL, PANIC, EXCEPTION |
경고/주의 | WARN, WARNING, ALERT |
성공/정상 | OK, SUCCESS, PASSED, DONE, COMPLETE, INFO |
상태 변화 | START, STARTED, STOP, STOPPED, RESTART, CONNECTED, DISCONNECTED |
인증/보안 | LOGIN, LOGOUT, DENIED, PERMISSION, AUTH, ACCESS |
시스템/네트워크 | TIMEOUT, DISK, CPU, MEMORY, NETWORK, DOWN, UP, PORT, IP |
사용자/서비스명 | admin, root, nginx, apache, mysql 등 |
regex_patterns = {
'ip_addr' : ([0-9]{1,3})\.([0-9]{1,3})\.([0-9]{1,3})\.([0-9]{1,3})
'error_fail': r'\b(ERROR|FAIL|FAILED|FATAL|CRITICAL|PANIC|EXCEPTION)\b',
'warn_alert': r'\b(WARN|WARNING|ALERT)\b',
'success_ok': r'\b(OK|SUCCESS|PASSED|DONE|COMPLETE|INFO)\b',
'status_change': r'\b(START|STARTED|STOP|STOPPED|RESTART|CONNECTED|DISCONNECTED)\b',
'auth_security': r'\b(LOGIN|LOGOUT|DENIED|PERMISSION|AUTH|ACCESS)\b',
'system_network': r'\b(TIMEOUT|DISK|CPU|MEMORY|NETWORK|DOWN|UP|PORT|IP)\b',
'user_service': r'\b(admin|root|nginx|apache|mysql)\b'
}
XShell 하이라이트 설정
1. 도구 - 하이라이트 모음
2. 새로 만들기
3. 키워드 - 추가
4. 키워드 하이라이트 설정
필자의 경우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사용한다.
각자의 상황과 맞게 설정하여 작업 효율을 높여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