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서버의 특정 포트 열려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컨테이너 환경)
·
Infra
기업 내부 폐쇄망 환경에서는 방화벽에 포트 오픈 요청을 진행한 뒤, 실제로 해당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특히 Kubernetes Pod 내부 컨테이너에서 포트 체크가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 다른 명령어들은 그래도 경험이 있지만,특히 pod 안의 컨테이너 환경에서 특정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이번에 처음 접하게 되어 잊지 않도록 정리해본다. 1️⃣ Telnettelnet telnet 패키지 설치 필요접속 성공 시 검은 화면이 나타남종료: Ctrl + ] → quit 2️⃣ Netcat (nc)nc -v -z 단순하고 빠르게 포트 열림 여부 확인 가능-z: 데이터 전송 없이 스캔만 수행-v: 상세 출력 3️⃣ Bash /dev/tcpecho > /dev/tcp// && ec..
클라우드컴퓨팅 전공수업의 일일 강사가 되다..!
·
Experience
얼마 전, 대학교 시절 수강했던 ‘클라우드컴퓨팅’ 전공 수업의 교수님께 연락을 받았다.수업에 현직자를 초청하는 특강 형식으로, OpenStack 관련 실습 강의를 맡아줄 수 있겠냐는 내용이었다. 이 수업은 2년전 내가 클라우드 기술을 처음 접한 곳이자, 인프라 기술에 흥미를 가지게 된 나에게 뜻깊은 수업이었다.그 수업에서 학생 → 연사로의 전환. 감회가 새로웠다. 강의 구성이번 강의는 OpenStack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기본 개념과 실습 경험을 함께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1. OpenStack 이론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OpenStack의 역사와 등장 배경컴포넌트 구성: Nova, Neutron, Glance, Keystone, Horizon...Private Cloud와 OpenSt..
작업 효율을 위한 터미널 키워드 하이라이트 정규식 & Xshell 하이라이트 설정
·
OS
신규 랩탑 기기 초기 셋업을 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미리 적용해놓았던 터미널 하이라이트들을 백업하지 못하여 매번 새로 세팅을 해야했다. 이번 랩탑 셋업을 하면서 이번 기회에 블로그글로 정리하여 남겨두려한다. 필자는 Window 환경에서는 XShell8 을 사용한다. 터미널 키워드 하이라이트 장점하이라이트를하면 확실히 터미널 작업이 좀 더 편하고 효율화 된다. 대표 하이라이트 키워드 아래에는 주요 예시 키워드들과 정규식을 정리한다.카테고리주요 키워드 예시에러/실패ERROR, FAIL, FAILED, FATAL, CRITICAL, PANIC, EXCEPTION경고/주의WARN, WARNING, ALERT성공/정상OK, SUCCESS, PASSED, DONE, COMPLETE, INFO상태 변화START,..
KOSA 클라우드 엔지니어 과정 수료 및 대상 수상
·
Experience
최근 3개월 동안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에서 진행한 클라우드 인프라 엔지니어 양성과정을 마쳤다.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이었지만, 그 어떤 때보다 밀도 있게 배우고 성장할 수 있었던 기간이었다. 기존 알고 있던 네트워크, 스토리지, 클라우드, 모니터링, 자동화, DevOps와 같은 여러 기술을 정리하고 체화하는 시간이었다.단순히 이론을 넘어, 직접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로 구현하고 경험하면서 내 것으로 만드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  미드 프로젝트 : 자동화를 통한 Kubernetes 클러스터 구축미드 프로젝트로는 Hyper-V 기반 Kubernetes 멀티 노드 클러스터를 자동으로 구축하는 작업을 했다.  이 과정에서 PXE를 활용해 네트워크 부팅으로 OS 설치를 자동화했다.여러 서버에 일일이..
2024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 Openstack 참여 후기
·
Experience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OSSCA : Openstack 2024년 7월부터 11월까지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평소 관심있었던 클라우드 IaaS플랫폼인 Openstack을 좀더 배워보고 싶은 마음에Openstack 팀에 지원하여 활동하였다. Openstack 팀 활동 내용Openstack 팀 정기 모임매 주 목요일 7시30분부터 9시 30분까지 정기적으로 모임을 진행멘토님들의 세션 진행기여 진행 상황 공유 및 피드백기여 활동할당받은 항목 기여코드 작성 및 커밋2024 Openinfra Summit 참가관심있는 기술 세션 참가메인테이너와 미팅 진행 Challengers 기간Devstack 환경 세팅 및 인스턴스 간 통신 이해오픈스택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접 설치해보는..
AWS Korea 기업 탐방 후기
·
Experience
AWS 기업 탐방 후기 좋은 기회로 AWS Korea 를 방문하여 학교 선배님을 만나뵙는 자리를 가지게 되었다.   세션을 맡아주신 분은 AWS에 근무하시는 99학번 컴퓨터공학부 선배분이셨다. (내가 99년생인데...)컴퓨터공학부 1기라고 하셨던가.. 굉장한 내공을 가지고 계신 분인 것 같았다.  AWS의 채용 프로세스 AWS의 채용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해주셨다. 해당 지원자가 이 포지션에 적합한지 기술적, 사업적으로 검증하는 5~6번의 면접 과정을 거친다고 말씀해주셨다. 또한, AWS만의 독자적인 조직문화와의 핏이 잘 맞는지도 본다고 말씀하셨다.  외국계기업의 조직 문화또한 외국계기업의 문화에 대해 말씀해주셨다.1. 영어 사용2. 각자 철저히 배정된 업무가 있음3. 회사에서 이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은..
2024 Openinfra Summit Asia 참여 & OpenstackSDK 메인테이너 미팅 후기
·
Experience
2024 Openinfra Summit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 Openinfra Summit Asia 행사에 다녀왔다. 이러한 기술 행사 참여는 처음이었는데, 뜻깊은 시간이었던 것 같아 후기를 남겨본다.  참여하고 있던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에서 운좋게 티켓을 받게되어 2일 모두 다녀오게 되었다.    굉장히 다양하고 흥미로운 주제의 세션들이 준비되어 있었고, 그중 관심있는 주제의 세션 강의장에 들어가 세션을 듣는 형식이었다.   1일차 평소에 k8s에 관심이 많았고, openshift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있어서, Redhat 직원분의 openshift 세션을 들어보았다. 감사하게도 발표자의 발표 내용이 실시간으로 번역되어 제공되어서, 세션을 좀 더 온전히 이해할 수 있었다.     ..
클라우드 전공체험 캠프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 후기
·
Experience
이번에 교내에서 진행된 클라우드공학과 전공 체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하게 되었다.학생들에게 클라우드 전공에 대해서 설명하고, 간단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했다.   어떻게 학생들에게 잘 알려줄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간단한 앱들을 웹서버를 배포해서 접속해 보도록 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가장 와닿을 방법이라고 생각하여이러한 방식으로 준비하게 되었다.   처음 접한 내용임에도, 학생들이 잘 따라와 주어서 참 고마웠다.항상 클라우드에 익숙한 전공자들과만 대화하다가클라우드 기술에 처음 접하는 사람, 학생들에게는 어떻게 소개하고 체험시켜 주면 좋을지에 대해서 고민해 보아야 하는 시간이었다.다행히도 학생들이 흥미 있어 했고, 만족도 평가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아서 뿌듯했다.